[TCP/IP 아키텍쳐] ARP protocol 의 구조
ARP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이며, IP 주소와 MAC 주소를 일대일 매칭하여 LAN에서 목적지를 제대로 찾아갈 수 있도록 돕는 프로토콜이다. 이때, IP 주소와 MAC 주소를 일대일 대응하여 테이블로 정리하고 목적지 IP에 맞는 MAC주소를 찾아 정리하는 테이블을 ARP Table이라고 부른다.
ARP를 주로 사용하는 곳은 2계층에 있는 Ethernet 환경이다.
이 ARP Table은 cmd에서 arp -a 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다.
▶ARP Protocol Header
▷ Hardware Type: 사용 중인 물리 주소나 데이터 링크 유형을 정의한다. (이더넷 프로토콜이 대부분이므로 0001)
▷ Protocol Type: 사용중인 프로토콜 주소 유형을 정의한다. (IPv4: 0800)
▷ Hardware Add Length: 해당 패킷의 물리 주소의 길이를 정의한다. (MAC 주소의 길이: 06)
▷ Protocol Add Length: 해당 패킷의 프로토콜 주소의 길이를 정의한다. (IPv4 프로토콜의 길이: 04)
▷ Opcode: ARP 요청인지, 응답인지 확인하기 위한 코드이다.
▷ Sender Hardware Address: 발신자의 물리 주소
▷ Sender Protocol Address: 발신자의 IP Address
▷ Target Hardware Address: 요구되는 대상의 하드웨어 주소( ARP를 요청할 때는 주소를 모르기 때문에 전부 F로 표시
▷ Target Protocol Address: 요구되는 대상의 IP Adress
OpCode에 사용되는 코드의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