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1. NL Join (Nested Loop)
- NL 조인은 두 테이블이 조인할 때, 드라이빙 테이블(Outer 테이블)에서 읽은 결과를 Inner 테이블로 건건이 조인을 시도하는 방식이다. 즉,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.
for(i = 0; i < I_MAX; i++) { // DEPT 테이블을 읽음
for(j = 0; j < J_MAX; j++) { // EMP 테이블을 읽음
// 조인 로직
}
}
- 사용 쿼리 예시
SELECT /*+ ORDERED USE_NL(E) */
*
FROM DEPT D, EMP E
WHERE 1 = 1
AND D.DEPTNO = E.DEPTNO;
- ORDERED: FROM 절에서 나열된 순서로 테이블을 읽도록 지시
- USE_NL(E): E와 조인할 때 NL 조인을 사용하도록 지시
- DEPT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한 건 읽어서 EMP 테이블로 조인을 시도하고, 조인에 성공하는 만큼을 결과 집합에 담는다.
- 다시 DEPT 테이블로 돌아가서 다음 한 건을 읽고, 조인을 반복하는 방식이다.
- 실제 사용 예시
SELECT /*+ ORDERED USE_NL(B) */
A.*,
B.*
FROM ITEM A, UITEM B
WHERE A.ITEM_ID = B.ITEM_ID --- 3
AND A.ITEM_TYPE_CD = '100100' --- 1
AND A.SALE_YN = 'Y' --- 2
AND B.SALE_YN = 'Y'; --- 4
- ITEM_X01 => ITEM_TYPE_CD 인덱스
- UITEM_PK => ITEM_ID + UITEM_ID 인덱스
- 위 쿼리에서는 ORDERED 힌트를 사용했기 때문에 ITEM을 먼저 읽는다.
- ITEM의 인덱스(ITEM_X01)를 이용해 A.ITEM_TYPE_CD = '100100'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.
- 추출된 데이터를 가지고 테이블로 이동하여 A.SALE_YN = 'Y'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최종 드라이빙 데이터로 만든다.
- ITEM 테이블에서 최종적으로 추려진 데이터를 가지고 UITEM 테이블과 조인 조건인 A.ITEM_ID = B.ITEM_ID 구문을 수행한다.
- 조인에 성공하면 마지막 조건인 B.SALE_YN = 'Y'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최종 집합으로 만든다.
- NL 조인은 랜덤 액세스 방식이라 비효율적으로 보이지만, 한 건씩 처리하기 때문에 대용량 테이블에서 페이징 처리 시 적절한 인덱스만 있다면 극적으로 처리 속도 개선의 여지가 있다.
- 최적의 인덱스 설계:
- ITEM_NEW => ITEM_TYPE_CD + SALE_YN
- UITEM_NEW => ITEM_ID + SALE_YN
2. Sort Merge Join
- Sort Merge Join은 두 테이블을 각각 조건에 맞게 읽고, 조인 컬럼을 기준으로 정렬한 후 조인을 수행하는 방식이다.
- NL 조인은 드라이빙 테이블을 먼저 읽어 조인 대상을 먼저 거르고, 조인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한 건 발생할 때마다 inner 테이블과 조인을 시도한다. 반면, Sort Merge Join은 각 테이블에서 조인 대상이 되는 조건을 먼저 걸러 대상이 되는 두 테이블 데이터를 만든 후에 조인을 시도한다.
- 오라클에서는 정렬을 PGA라는 공간에서 수행하며, 이 공간은 프로세스에 할당된 독립된 공간이므로 버퍼 캐시를 사용하는 NL 조인에 비해 조인을 시도하는 데이터 접근이 더 빠르다.
- 사용 쿼리 예시
SELECT /*+ ORDERED USE_MERGE(E) */
*
FROM DEPT D, EMP E
WHERE 1 = 1
AND D.DEPTNO = E.DEPTNO;
- 세부 조인 동작
1. First 테이블(Outer 테이블)을 조인 컬럼 기준으로 정렬한다.
SELECT * FROM DEPT ORDER BY DEPTNO;
2. Second 테이블(Inner 테이블)도 조인 컬럼 기준으로 정렬한다.
SELECT * FROM EMP ORDER BY DEPTNO;
3. 두 테이블을 조인한다.
D.DEPTNO = E.DEPTNO
begin_point = 0;
for(i = 0; i < I_MAX; i++) {
for(j = begin_point; j < J_MAX; j++) {
while (d.deptno == e.deptno) {
// 조인 대상이 있는 동안 반복해서 조인 시도
begin_point = j + 1; // 다음 시작 위치 저장
}
break; // 조인 시도 후 루프 탈출
}
}
- 각 테이블을 한 번씩만 읽어 데이터를 추출, 정렬하여 조인키로 정렬했으므로 조인 횟수를 줄일 수 있는 기법이다.
- Sort Merge 조인은 정렬이 필요하므로 조인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많거나 조인 컬럼에 인덱스가 없는 경우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.
- 실제 사용 예시
SELECT /*+ ORDERED USE_MERGE(B) */
A.*,
B.*
FROM ITEM A, UITEM B
WHERE A.ITEM_ID = B.ITEM_ID --- 4
AND A.ITEM_TYPE_CD = '100100' --- 1
AND A.SALE_YN = 'Y' --- 2
AND B.SALE_YN = 'Y'; --- 3
- ITEM_X01 => ITEM_TYPE_CD 인덱스
- UITEM_PK => 없음
- ITEM 테이블의 ITEM_X01 인덱스를 이용해 A.ITEM_TYPE_CD = '100100'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.
- 추출된 데이터를 가지고 테이블로 이동해 A.SALE_YN = 'Y'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최종 추출 데이터로 만든다.
- ITEM에서 최종적으로 추려진 데이터를 가지고 조인 컬럼인 A.ITEM_ID를 기준으로 정렬한다.
- UITEM 테이블을 읽는데, 이 테이블에는 인덱스가 없기 때문에 테이블 전체를 스캔하면서 B.SALE_YN = 'Y'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최종 추출 데이터로 만들고, 마찬가지로 B.ITEM_ID를 기준으로 정렬한다.
- 조인 조건인 A.ITEM_ID = B.ITEM_ID 조건을 수행한다.
- 최적의 인덱스 설계:
- ITEM_NEW => ITEM_TYPE_CD + SALE_YN + ITEM_ID
- UITEM_NEW => SALE_YN + ITEM_ID
- Sort Merge Join은 실제로 잘 사용되지 않는다. 조인을 하기 위해 조인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정렬을 하기 때문에 그 성능이 해시 조인보다 떨어질 수 있다.
3. Hash Join
Hash Algorithm
- 오라클이 사용하는 해시 알고리즘은 해시 버킷을 생성하고 해시 함수를 통해 반환된 값으로 해시 버킷을 찾아가 해시 체인을 구성하여 해시 맵을 만드는 방식이다.
- 예를 들어, f(x) = mod(x, 10)가 해시 함수라면, 함수의 output으로 나올 수 있는 0 ~ 9까지가 해시 버킷이 되며, 해시 버킷 내에 체인을 형성한다.
Hash Join
- 오라클에서 해시 조인을 위해 해시 맵을 만들 때 두 테이블 중 작은 테이블을 읽어 만든다.
- 큰 테이블을 읽어 해시 함수를 통해 해시 버킷을 찾아가 실제 데이터를 찾는다.
- 작은 테이블: Build Input
- 큰 테이블: Probe Input
- 해시 맵에는 조인 컬럼과 SELECT 절에서 사용한 컬럼까지 포함된다.
- SQL 작성 시 꼭 필요한 컬럼만 기술하는 것이 PGA 사용량을 줄이는 방법이다.
- 사용 쿼리 예시
SELECT /*+ ORDERED USE_HASH(E) */
*
FROM DEPT D, EMP E
WHERE 1 = 1
AND D.DEPTNO = E.DEPTNO;
- ORDERED를 사용하면 첫 번째 테이블인 DEPT를 먼저 읽어 Build Input으로 선택하여 해시 맵을 만들고, EMP 테이블을 Probe Input으로 선택해 EMP 테이블을 읽으면서 조인을 시도한다.
- Build Input을 옵티마이저에게 선택하도록 맡기려면 아래와 같이 힌트를 사용해야 한다.
SELECT /*+ USE_HASH(E) */
*
FROM DEPT D, EMP E
WHERE 1 = 1
AND D.DEPTNO = E.DEPTNO;
- 3개 이상의 테이블을 조인할 경우 Build Input을 사용자가 지정하려면 아래와 같이 SWAP_JOIN_INPUTS를 사용해야 한다.
SELECT /*+ USE_HASH(E) SWAP_JOIN_INPUTS(E) */
*
FROM DEPT D, EMP E
WHERE 1 = 1
AND D.DEPTNO = E.DEPTNO;
- Hash Join 시에는 Build Input이 작아야 유리하다.
- Build Input이 지나치게 큰 테이블로 선택되면 PGA 내 해시 영역에 적재하기 힘들어지고, 디스크 공간을 사용하게 되며,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해시 조인의 성능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.
- Hash 함수는 같은 값이 입력되면 반환 값도 같으므로, 조인 키 값의 Distinct Value 수와 전체 값의 수가 큰 차이를 보이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.
- 조인 컬럼의 값에 중복 값이 적거나 WHERE 절에 조인 컬럼으로 값을 걸러내는 필터 조건이 없어야 한다.
- 또한 Sort Merge와 Hash 조인은 정렬 과정과 해시 맵을 만드는 과정에서 많은 CPU 부하를 가져온다. NL 조인으로 처리할 수 있음에도 해시 조인으로 처리하면 쉽게 성능 향상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해시 조인을 남용하는 경향이 있지만, 이는 시스템 전체 측면에서 좋은 현상이 아니다.
각 Join 기법 사용 시기
- NL Join:
- 온라인 트랜젝션이 많고 부분 범위 처리(주로 페이징에서 사용 가능)가 가능할 때
- 각 테이블의 데이터는 많지만 추출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양이 많지 않을 때
- Sort Merge Join:
- 첫 번째 테이블에 조인 컬럼 기준으로 인덱스가 있어 정렬 부하가 발생하지 않을 때
- Group by 또는 Order by 등으로 이미 정렬한 서브 쿼리와 조인 시도 시 두 번째 테이블의 양이 적을 때
- 테이블의 양이 매우 커서 NL 조인이 힘들고, 조건이 = 조인이 아니어서 해시 조인도 사용하기 힘들 때
- Hash Join:
- 대용량 테이블을 조인 시도하는데 조인 컬럼에 적당한 인덱스가 없어서 NL 조인이 힘들 때
- 조인 컬럼에 인덱스가 있지만 드라이빙 테이블의 결과 건수가 많아 Inner 테이블로 많은 양의 랜덤 액세스가 발생할 때
- 두 테이블의 양이 많아 Sort Merge 조인 시도 시 정렬로 인한 부하가 클 때
Join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인덱스 설계
아래 예제 쿼리를 튜닝한다고 가정했을 때, 각 조인 기법에 따라 인덱스 설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자.
SELECT
A.*,
B.*
FROM ITEM A, UITEM B
WHERE A.ITEM_ID = B.ITEM_ID
AND A.ITEM_TYPE_CD = '100101'
AND A.SALE_YN = 'Y'
AND B.SALE_YN = 'Y';
1. NL Join
- ITEM은 드라이빙 테이블이므로 조인 컬럼을 인덱스에 추가해야 할 상황이라면 뒤에 배치해야 한다.
- 즉, 인덱스의 선두 컬럼은 ITEM_TYPE_CD와 SALE_YN이 후보이다.
- 조인 컬럼을 인덱스에 추가했을 때 테이블로의 랜덤 액세스가 사라진다면 성능 향상 효과가 있는 것이다. 그렇지 않다면 조인 컬럼을 추가하지 않는 것이 좋다.
- UITEM 테이블은 NL 조인에서 Inner 테이블이다. NL 조인의 핵심은 Inner 테이블에 조인 컬럼이 반드시 인덱스로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.
- 따라서 인덱스는 ITEM_ID + SALE_YN 또는 SALE_YN + ITEM_ID가 되어야 한다.
2. Sort Merge Join
- Sort Merge Join은 각 테이블에서 조인 컬럼으로 정렬이 발생한다.
- 이를 염두에 두고 인덱스를 설계해야 한다.
- ITEM 테이블은 ITEM_TYPE_CD + SALE_YN 또는 SALE_YN + ITEM_TYPE_CD 순서로 구성해야 하며, 정렬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인 컬럼을 추가해야 한다.
- 따라서 인덱스는 ITEM_TYPE_CD + SALE_YN + ITEM_ID 또는 SALE_YN + ITEM_TYPE_CD + ITEM_ID로 구성할 수 있다. 인덱스에서 ITEM_ID 컬럼을 제거하면 정렬이 발생할 수 있다.
- UITEM 테이블도 마찬가지이다. Sort Merge Join은 두 테이블이 모두 정렬을 위한 인덱스가 있어도 inner 테이블은 조인 대상 전체를 읽어 PGA에 적재한다. 따라서 Inner 테이블에서도 조인 컬럼을 인덱스에 추가하여 정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.
- INDEX_02 = SALE_YN + ITEM_ID로 구성이 가능하다.
3. Hash Join
- Hash Join으로 조인할 경우, 다른 조인에 비해 인덱스를 만드는 경우가 덜 발생한다.
- 또한 인덱스를 만드는 것도 가장 간단하다.
- ITEM 테이블에서는 INDEX_01 = ITEM_TYPE_CD + SALE_YN 또는 SALE_YN + ITEM_TYPE_CD로 구성할 수 있다.
- UITEM 테이블에서는 INDEX_02 = SALE_YN으로만 구성할 수 있다.
- Hash Join에서는 조인 컬럼이 인덱스에 포함되지 않아도 성능상의 손익이 크지 않다.
Outer 조인
1. Outer NL Join
- Outer NL 조인은 NL 조인의 특성상 Outer 조인을 할 때, 조인 방향이 한쪽으로 고정된다.
- Outer 기호(+)가 붙지 않은 테이블을 항상 드라이빙 테이블로 선택한다. LEADING이나 ORDERED 힌트를 사용하더라도 그 순서를 변경할 수 없다.
SELECT /*+ LEADING USE_NL(E) */
*
FROM DEPT D, EMP E
WHERE 1 = 1
AND D.DEPTNO = E.DEPTNO(+);
- 위 쿼리를 호출하면, USE_NL(E)는 무시되고, Hash 조인으로 옵티마이저가 알아서 변경한다.
2. Outer Sort Merge Join
- Sort Merge Join은 각 테이블의 조인 대상 집합을 정렬한 후 조인한다는 점에서 NL 조인과 다르지만, 그 원리는 동일하다.
- NL 조인과 마찬가지로 조인 방향이 한쪽으로 고정된다.
- 즉, NL 조인과 마찬가지로 LEADING이나 ORDERED 힌트를 사용해도 그 순서를 바꿀 수 없다.
SELECT /*+ LEADING USE_MERGE(E) */
*
FROM DEPT D, EMP E
WHERE 1 = 1
AND D.DEPTNO = E.DEPTNO(+);
3. Outer Hash Join
- Hash Join에서는 데이터가 작은 테이블로 Hash Map을 만들어야 부하를 줄일 수 있는데, Outer Hash Join에서는 SWAP_JOIN_INPUTS 힌트를 사용해 이를 결정할 수 있다.
SELECT /*+ USE_HASH(D E) SWAP_JOIN_INPUTS(E) */
*
FROM DEPT D, EMP E
WHERE 1 = 1
AND D.DEPTNO = E.DEPTNO(+);
스칼라 서브 쿼리로의 조인
- 스칼라 서브 쿼리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함수처럼 입력 값에 대한 반환 값을 하나만 반환하는 쿼리이다. SELECT 문에서 사용된다.
SELECT
E.EMPNO,
E.ENAME,
E.JOB,
(SELECT DNAME FROM DEPT WHERE DEPTNO = E.DEPTNO) DNAME
FROM EMP E;
- 위와 같은 쿼리에서, 만약 E.DEPTNO에 해당하는 값이 테이블에 없다면 NULL을 반환한다. 즉, Outer Join과 같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.
- 스칼라 서브 쿼리의 가장 큰 특징은 내부적으로 캐시에 값을 저장해 둔다는 점이다.
- 입력 값과 출력 값이 같으면 쿼리를 수행하지 않는다는 원리로 캐시에 저장한다.
- 이때 입력 값과 출력 값을 저장해 두고 스칼라 서브 쿼리가 실행될 때, 캐시에서 입력 값(위 쿼리에서는 E.DEPTNO)을 찾아본다.
- 만약 값이 있으면 미리 저장된 출력 값을 반환하고, 없으면 스칼라 서브 쿼리를 실행해 결과 값을 캐시에 저장한다.
- 스칼라 서브 쿼리는 자주 반복되고 값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은 테이블(예: 공통 코드 테이블)에 조인을 할 때 효과적이다.
- 그러나 스칼라 서브 쿼리는 반환 값을 하나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. 이를 극복할 방법도 있다.
SELECT
E.EMPNO,
E.ENAME,
E.JOB,
(SELECT DNAME FROM DEPT WHERE DEPTNO = E.DEPTNO) DNAME,
(SELECT LOC FROM DEPT WHERE DEPTNO = E.DEPTNO) LOC
FROM EMP E;
위 쿼리는 같은 테이블에 같은 조건으로 스칼라 서브 쿼리를 두 개 이상 사용하고 있다. 이는 같은 테이블을 두 번 액세스하는 비효율이 발생한다.
1. 정규식을 사용하여 해결
SELECT
E.EMPNO,
E.ENAME,
E.JOB,
REGEXP_SUBSTR(SUB, '[^$]+', 1, 1) DNAME,
REGEXP_SUBSTR(SUB, '[^$]+', 1, 2) LOC
FROM (
SELECT
E.EMPNO,
E.ENAME,
E.JOB,
(
SELECT
DNAME || '$' || LOC
FROM DEPT
WHERE DEPTNO = E.DEPTNO
) SUB
FROM EMP E
);
- 여기서 DNAME 컬럼과 LOC 컬럼 값에는 $ 문자가 절대 존재해서는 안 된다.
- REGEXP_SUBSTR 함수는 문자열에 대해 정규식을 사용하므로, 쿼리 결과 값이 많으면 약간의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.
2. TRIM(SUBSTR())을 사용하여 해결
SELECT
E.EMPNO,
E.ENAME,
E.JOB,
TRIM(SUBSTR(SUB, 1, 20)) DNAME,
TRIM(SUBSTR(SUB, 21, 20)) LOC
FROM (
SELECT
E.EMPNO,
E.ENAME,
E.JOB,
(
SELECT
LPAD(DNAME, 20) || LPAD(LOC, 20)
FROM DEPT
WHERE DEPTNO = E.DEPTNO
) SUB
FROM EMP E
);
- LPAD 함수를 사용하여 두 컬럼 값을 연결한 뒤, 추출하여 사용한다.
- LPAD 함수를 사용할 때는 컬럼 길이보다 LPAD로 받는 문자열 길이를 길게 설정해야 한다.
반응형
'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racle Tunning] 인덱스 활용과 튜닝 (0) | 2024.08.28 |
---|---|
[Oracle Tunning] INDEX Scan 방식 (0) | 2024.08.28 |
[Oracle Tunning] INDEX 기본 (1) | 2024.08.28 |
[Oracle Tunning] DBMS_XPLAN.DISPLAY_CURSOR (0) | 2024.08.28 |
[Oracle Tunning] 오라클 아키텍쳐 (0) | 2024.08.28 |
Comments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AG
- 인천 구월동 맛집
- 맛집
- react-native
- javascript
- 인천 구월동 이탈리안 맛집
- 파니노구스토
- redux-thunk
- await
- react
- Async
- AsyncStorage
- 이탈리안 레스토랑
- Promise
- 정보보안기사 #실기 #정리
- redux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