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
Jun's TID

프로필사진

Jun's TID

Jun's TID
검색하기 폼 Mountain View
  • 분류 전체보기 (511)
    • 정보관리기술사 (0)
      • Network (0)
    • Mobile (159)
      • Android (71)
      • Dart (5)
      • Flutter (9)
      • ios (38)
      • react-native (36)
    • WEB (110)
      • DynamicWeb (33)
      • 자바스크립트 (22)
      • CSS (4)
      • jQuery (21)
      • ajax (4)
      • JPA (2)
      • React (21)
      • Node (3)
    • Database (25)
    • [Python] (35)
      • 문자열 조작 (4)
      • 선형 자료구조 (7)
      • Machine learning (17)
    • [JAVA] (111)
      • Spring-Boot (12)
      • Spring (47)
      • JExcel (3)
      • BeakJoon (4)
      • Programmers (23)
      • JAVA (8)
      • Algorithms (8)
      • Mybatis (6)
    • Network (12)
    • Projects (9)
    • Support (10)
    • 프로젝트 분석 (4)
    • English (8)
    • Life (2)
      • 운동냥이 (0)
      • 맛집냥이 (1)
      • 커피냥이 (0)
    • 정보보안기사 (2)
    • C++ (15)
      • 참고 (11)
      • 연습 문제 (4)
    • 누리 임보 일기 (7)
  • GUESTBOOK
  • TAG
  • RSS

Support
레지스터 호환 in x86-64 아키텍처

64비트 x86-64 아키텍처에서는 레지스터들이 여러 크기의 값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, 이는 크게 64비트, 32비트, 16비트, 그리고 8비트 레지스터로 구분된다. 여기서 큰 레지스터는 작은 레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있어, 작은 레지스터들은 큰 레지스터의 하위 부분을 차지한다. 다음은 일반적인 64비트 레지스터와 그에 연결된 하위 레지스터들의 호환표입니다:64비트 레지스터 (General Purpose)rax : 64비트 전체 레지스터eax : 하위 32비트ax : 하위 16비트ah : 상위 8비트 (상위 바이트 of ax)al : 하위 8비트 (하위 바이트 of ax)rbxebxbxbhblrcxecxcxchclrdxedxdxdhdl추가 64비트 레지스터 (General Purpose)rsi..

Support 2024. 5. 26. 22:08
[troubleshooting] 듀얼 모니터 환경에서 스트리밍 오류

듀얼 모니터 환경에서 OTT 스트리밍을 재생하면 그냥 아무런 이유 없이 모니터 하나가 뻗어버리고 프레임이 초당 1 프레임 정도로 미친 듯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겼다. 크롬, 파이어폭스, 웨일 등 어떤 브라우저를 사용해도 동일한 문제가 생기길래... 처음에는 모니터 1개의 해상도가 달라서 따로 해상도를 계산하는데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. 그렇다고 하기에는... 유튜브는 또 잘 된다...ㅋㅋㅋ 그래서 나온 결론은 각 스트리밍 서비스가 웹에서 사용하는 스트리밍 라이브러리가 문제인가? 했는데, 또 노트북을 바꾸기 전까지는 참.. 잘 됐단 말이지;; 구글링을 좀 해보니까, 각 모니터 간 새로고침 빈도가 달라서 생기는 문제일 수 있다는 글이 있었다. 실제로, 연결한 모니터들은 60Hz인데 노트북 자체 화면이 240H..

Support 2024. 2. 10. 12:01
[Linux] 리눅스 자주 사용하는 기본 명령어 정리

자주 사용하면서도 항상 구글링을 해서 찾았던 리눅스 명령어들을 이제서야 정리를 좀 해보려고 한다. 각 기본 명령어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매우 자세하게 설명하여, 참고했다. 1. ls (List segments) : 현재 위치의 파일 목록 조회 ls -l : 파일의 상세정보 ls -a : 숨김 파일 표시 ls -t : 파일들을 생성시간순(제일 최신 것부터)으로 표시 ls -rt : 파일들을 생성시간순(제일 오래된 것부터)으로 표시 ls -f : 파일 표시 시 마지막 유형에 나타내는 파일명을 끝에 표시 ('/' : 디렉터리, '*' : 실행파일, '@' : 링크 등등,,,) 2. cd (Change directory) :디렉터리 이동 cd [디렉터리 경로] : 이동하려는 디렉터리로 이동 (경로 입력 시 '..

Support 2022. 8. 9. 11:55
[DOS & Batch] batch file Ref

개발을 공부하면서, 막상 dos 명령어를 따로 정리한 적이 없어서 간단한 정리나 좀 하려고 한다. MS window OS 환경에서 Batch 파일은 텍스트 파일로써, Shell 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들과 조건문이나 반복문 등을 작성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. Shell 프로그램이 Batch 파일을 실행시키면, 한줄씩 Batch 파일의 내용을 읽어 동작한다. Batch 파일의 종류는 확장자는 다음과 같으며, 아래로 갈 수록 더 많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. - .bat(cmd.exe or command.com) - .vbs(cscript.exe or wscript.exe) - .js(csript or wscript.exe) - .ps1(powershell.exe) cscript와 wscript는 둘 다 ..

Support 2022. 4. 18. 16:00
[Log4j2] Config 파일 <log4j2.xml>

요즘 패킷 스니핑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토이로 깨작깨작 건드리고 있다. console창에 띄우기에는 정리도 안된 패킷들이 너무 많이 올라와서 log4j2 설정을 만져서 메모장으로 정리하려고 했는데... config 파일이 생각보다 공부할 게 많아보여서.. 생각난 김에 정리나 해보려고 한다.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레퍼런스에서 해당 내용을 아주 기깔나게 정리하여 참고했다. Spring 환경에서 Log4j2.xml 파일은 프로젝트가 초기화될 때 자동으로 호출되어 로그에 대한 설정 정보를 가지고 로그를 찍는다. (따로 스프링 Config 파일에 명시하지 않았다면, 기본적으로 Log4j2.xml 파일을 resources 디렉토리에서 찾는다.) Log4j 2는 XML 파일의 최상위 요소가 반드시 여야 한다. 이 Con..

Support 2022. 4. 14. 22:50
[git] 현재 개발 중인 프로젝트에서 gitignore 추가가 안될 때

1. 현재 추적 중인 application.properties의 추척 취소: - cmd: cd [.git 폴더가 있는 경로] git rm --cached [ignore할 파일의 경로와 파일명] 2. .gitifnore: 빈 공간에 ignore할 파일명 추가 3.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ignore할 파일 삭제 4. 커밋 5. 다시 ignore할 파일 추가 6. sourcetree는 해당 파일을 잡지못함

Support 2021. 7. 28. 21:15
[lumbok] 기본 어노테이션 요약

Support 2021. 7. 1. 13:55
[lib] Lombok

Lombok 라이브러리는 간단한 어노테이션 추가만으로 setter/getter/toString 등 모든 private 기본 메서드를 자동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게끔 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. org.projectlombok lombok 1.16.18 간단하게 maven repository에 dependency 만 추가를 해서 사용해보면, package com.choonham.tdl.dto; import lombok.Data; @Data public class Todo { private String id; private String name; private String title; private String regdate; private String sequence; private String type; } ..

Support 2021. 6. 30. 14:58
[GitHub] 깃허브 기본 사용법

Final Project 를 함께 제작할 팀을 구성했기 때문에, 함께 협업을 시작하기 전에 GitHub의 사용법을 정리할 필요가 있을 거 같다. 기초적인 회원 가입이나 설치는 따로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아닐 거 같아서 생략하도록 하겠다. 참고로 설치는 https://git-scm.com/book/ko/v2/%EC%8B%9C%EC%9E%91%ED%95%98%EA%B8%B0-Git-%EC%84%A4%EC%B9%98 Git - Git 설치 이 책은 Git 2.0.0 버전을 기준으로 썼다. 대부분의 명령어는 그 이전 버전에서도 잘 동작하지만, 몇 가지 기능은 아예 없거나 미묘하게 다를 수 있다. Git의 하위 호환성은 정말 훌륭하기 때문에 2.0 git-scm.com 에서 진행할 수 있다. 바로 기초적인 개념 ..

Support 2021. 6. 8. 14:24
[GitHub]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연동

1.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Choonham" 2.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123@123" 3. git init 4. git add . 5. git commit -m 6. 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블라블라.git 7. git push origin branchName

Support 2021. 3. 25. 17:06
이전 1 다음
이전 다음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AG
  • AsyncStorage
  • 인천 구월동 이탈리안 맛집
  • 정보보안기사 #실기 #정리
  • await
  • Async
  • 파니노구스토
  • react
  • redux-thunk
  • 인천 구월동 맛집
  • redux
  • react-native
  • 이탈리안 레스토랑
  • Promise
  • javascript
  • 맛집
more
Total
Today
Yesterday

Powered by Tistory / Designed by INJE

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