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그 동안 여러 코딩 테스트,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다양한 자료 구조를 사용하긴 했지만, 따로 정리한 내용이 부족한 것 같기도 하고, 오늘 강의에서 Java의 Collection 에 있는 자료 구조를 전부 설명해 주시길래 정리해보려고 한다.
1. ArrayList: 워낙 기본적인 내용이기도 하고 많이 사용해서...자세한 내용은 Pass.
package com.choonham.list;
import java.util.ArrayList;
import java.util.Iterator;
public class ArrayListTestClass {
public ArrayListTestClass() {
// TODO Auto-generated constructor stub
}
public static void arrayListTest() {
ArrayList<String> list = new ArrayList<>();
list.add("grape"); // add() 맨 마지막 위치에 데이터를 추가
list.add("orange");
list.add("orange");
list.add("peach");
System.out.println(list.size()); //4
/** 0: "grape" 1:"orange" 2: "orange" 3: "peach" **/
list.add(1, "kiwi"); //특정 인덱스에 삽입
/** 0: "grape" 1: "kiwi" 2:"orange" 3: "orange" 4: "peach" **/
list .set(2, "apple"); //특정 인덱스 데이터 변경
/** 0: "grape" 1: "kiwi" 2:"apple" 3: "orange" 4: "peach" **/
list.remove(0); //특정 인덱스의 데이터 제거
/** 0: "kiwi" 1:"apple" 2: "orange" 3: "peach" **/
list.remove("kiwi"); //특정 데이터 선택 제거
/** 0:"apple" 1: "orange" 2: "peach" **/
int idx = list.indexOf("peach"); //특정 데이터의 위치 반환
/** 2 **/
/** 이터레이터를 사용하여 리스트의 있는 값 추출하는 방법 **/
Iterator<String> itr = list.iterator(); //순차적으로 인덱스를 가지는 이터레이터 객체
while(itr.hasNext()) {
System.out.println(itr.next());
}
}
}
2. LinkedList: ArrayList와는 달리 삽입, 삭제시 데이터 그 자체가 움직이는 것이 아닌 연결된 인덱스가 수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ArrayList보다 수정면에서 속도가 빠르다.
package com.choonham.list.linked;
import java.util.ArrayList;
import java.util.Iterator;
import java.util.LinkedList;
import java.util.List;
public class LinkedListTestClass {
/** List 계열
* ArrayList : 자료에 변동이 적을 때 유리
* LinkedList : 삽입, 삭제가 많은 작업시 유리
*/
public LinkedListTestClass() {
}
public static void linkedListTest() {
LinkedList<Character> list = new LinkedList<>();
list.add('a');
list.add('b');
list.add('c');
for(Character c : list) {
System.out.println(c);
}
Iterator<Character> itr = list.iterator();
while(itr.hasNext()) {
System.out.println(itr.next());
}
}
public static void linkedListExample() {
List<String> arrayList = new ArrayList<>();
List<String> linkedList = new LinkedList<>();
long startTime, endTime;
//ArrayList 처리 시간
startTime = System.nanoTime();
for(int i = 0; i < 10000; i++) {
arrayList.add(String.valueOf(i));
}
endTime = System.nanoTime();
System.out.println("ArrayList 처리 시간: " + (endTime - startTime));
//LinkedList 처리 시간
startTime = System.nanoTime();
for(int i = 0; i < 10000; i++) {
linkedList.add(String.valueOf(i));
}
endTime = System.nanoTime();
System.out.println("LinkedList 처리 시간: " + (endTime - startTime));
}
}
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해서 속도를 비교하면 ArrayList 와 LinkedList에 각각 10000개의 데이터를 삽입했을 때의 속도 차이는
이 정도 차이가 난다. (데이터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차이는 커진다.)
3. Vector: 동기적 방식의 자료 구조로, 속도가 느려서 자주 사용되는 자료 구조는 아니지만 참고용으로 알아두자
package com.choonham.list.vector;
import java.util.Enumeration;
import java.util.Vector;
public class VectorTestClass {
/*
* List 계열: 자료가 순차적, 중복적일 경우 사용
* ArrayList: 비동기적(효율적)
* Vector: 동기적
*
* ------------------------비동기적 방식과 동기적 방식------------------------
* 은행: 통장(10,000) => A는 출금(7,000) / B는 입금 (5,000)
* A 는 출금(7,000) => 3,000
* B 는 입금(5,000) => 15,000
* 이렇게 가정했을 때, A가 계좌에서 출금 작업을 진행할 때, B의 입금은 대기 상태가 되었다가 A의 작업이 끝난 후 작업 시작 => 동기적 방식
* 출금과 입금이 동시에 이뤄진다면 => 비동기적 방식
*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
* But, Vector는 전체 코드의 처리 시간이 느려져서 잘 사용하지 않는다.
*
*/
public VectorTestClass() {
// TODO Auto-generated constructor stub
}
public static void vectorTest() {
Vector<String> v1 = new Vector<>();
v1.add("Samsung"); // List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Override된 메서드
v1.addElement("Samsung2"); //Vector Class 자체 정의 메서드(add메서드보단 이 메서드를 더 자주 사용)
v1.addElement("LG");
v1.addElement("Google");
System.out.println(v1); //Vector는 이렇게 직접 출력이 가능하다.
System.out.println(v1.elementAt(2)); //특정 인덱스에 있는 데이터를 추출
Enumeration<String> e = v1.elements(); //이렇게 Enumeration 을 사용하여 이터레이터와 같이 출력 가능
while(e.hasMoreElements()) {
System.out.println(e.nextElement());
}
}
}
4. Stack: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자료 구조, 특징은 Last in, first out / First in, last out 이라는 것. 바구니에 차곡 차곡 쌓는 걸 생각하면 데이터를 따라가기 쉽다.
package com.choonham.list.stack;
import java.util.Stack;
public class StackTestClass {
/*
* Stack: List 계열
* 동작: Last in, first out / First in, last out
*
*/
public StackTestClass() {
// TODO Auto-generated constructor stub
}
public static void stackTest() {
Stack<String> s = new Stack<>();
s.push("abc"); //데이터 삽입: 맨 아래부터 쌓아 올린다.
s.push("def");
s.push("ghi");
System.out.println(s.peek()); //가장 최근에 Push된, 맨 위 데이터 확인
System.out.println(s.pop()); // 데이터 추출: 맨 위부터 꺼낸다.
System.out.println(s.pop());
System.out.println(s.pop());
}
}
5. Queue: First in first out 개념의 자료 구조, LinkedList 이용하여 구현한다.
package com.choonham.list.stack;
import java.util.LinkedList;
import java.util.Queue;
public class LinkedListQueueTestClass {
/* LinkedList 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Queue
*
* Queue: First in First out
* Queue는 클래스로 구현되어있지 않고, 인터페이스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
* Queue타입의 LinkedList 를 생성해야 사용이 가능하다.
*
*/
public LinkedListQueueTestClass() {
// TODO Auto-generated constructor stub
}
public static void queueTest() {
Queue<String> q = new LinkedList<String>();
q.add("오늘은 ");
q.add("3월 30일");
q.add("화요일 입니다.");
System.out.println(q.peek()); //가장 먼저 들어간 데이터(head) 확인
System.out.println(q.poll()); //head 부터 데이터 추출
System.out.println(q.poll());
System.out.println(q.poll());
}
}
6. HashMap: key와 value 쌍을 데이터로 가지고 있는 Map형태로, 순서나 인덱스를 따로 가지고 있지 않는다.
package com.choonham.map.hashmap;
import java.util.HashMap;
import java.util.Iterator;
import java.util.Map;
import java.util.Set;
public class HashmapTestClass {
/*
*
* Map 계열 : 자료가 key, Value 쌍으로 되어 있는 상태일 때 사용
* 하위 클래스 : HashMap(가장 많이 사용), TreeMap(군집 분석 시 많이 쓰임), HashTable, Properties
* HashTable : old ver.
* HashMap : new ver.
* Map - NavigableMap - HashTable/HashMap, Properties, TreeMap
*
* */
public HashmapTestClass() {
// TODO Auto-generated constructor stub
}
public static void hashmapTest() {
Map<String, Integer> m = new HashMap<String, Integer>();
m.put("a", 10);
m.put("a", 20);
m.put("a", 30);
m.put("a", 40); // key "a" 에 계속 데이터를 덮어 쓴다. 즉, 동일한 Key명이 중복되어 Map에 들어갈 수 없다.
m.put("b", 200);
m.put("c", 120);
m.put("d", 300);
// 데이터 추출1. keySet() 키 값을 반환하는 메서드로, Set 타입으로 반환한다.
Set<String> s = m.keySet();
s = m.keySet();
Iterator<String> itr = s.iterator();
while(itr.hasNext()) {
String keyName = itr.next();
Integer value = m.get(keyName);
System.out.println(keyName + " : " + value);
}
System.out.println(m.get("a")); // 데이터 추출2. 특정 키 값만 반환
}
}
7. Set: 자료가 주머니 속에 저장된다고 생각하면 된다. 순서는 없고, 중복 자료가 들어갈 수 없다.
즉, 어떤 데이터 집합에서 깔끔하게 중복 값을 제거하고 싶을 때, 전부 Set에 넣어버리면 중복 값이 제거된다.
package com.choonham.map.hashset;
import java.util.HashSet;
import java.util.Iterator;
public class HashSetTestClass {
/*
* Set계열: 자료가 주머니 속에 저장. 순서 없음, 중복 불가 <== 값(데이터)만 저장!
* : Iterable - Collection - Set - HashSet/TreeSet
* 순서나 Key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무조건 Iterator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해야한다.
*
* 어떤 데이터 집합에서 깔끔하게 중복 값을 제거하고 싶을 때,
* 전부 Set에 넣어버리면 중복 값이 제거된다.
*
* */
public HashSetTestClass() {
// TODO Auto-generated constructor stub
}
public static void hashSetTest() {
HashSet<String> h = new HashSet<>();
h.add("test1");
h.add("test2");
h.add("test3");
h.add("test4");
Iterator<String> itr = h.iterator();
while(itr.hasNext()) {
System.out.println(itr.next());
}
}
}
위와 같이 코드를 구성하여 Iterator를 사용해 출력해보면,
이렇게 순서를 깡그리 무시하고,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또한, ArrayList의 생성자 부분에 Set을 넣어 Set에게 순서를 주거나 정렬할 수도 있다.
대강 코드를 짤 때 자주 사용하는 Collection의 자료 구조를 정리해봤는데... 역시 많이 사용하는 걸 잘 기억할 수 밖에 없는 것 같다.
결론: 굳이 굳이 활용하여 많이 사용해보자!
'[JAVA] > Algorithm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Greedy 알고리즘 (0) | 2021.04.07 |
---|---|
[JAVA] Dynamic Programming (0) | 2021.04.07 |
[JAVA] <완전 탐색> 수열과 조합 알고리즘 (0) | 2021.04.05 |
[JAVA] <Sort 알고리즘 정리> (0) | 2021.04.02 |
<자료구조> Heap & Priority Queue (0) | 2021.03.29 |
- 이탈리안 레스토랑
- react-native
- redux
- 인천 구월동 이탈리안 맛집
- 파니노구스토
- Promise
- redux-thunk
- 정보보안기사 #실기 #정리
- await
- Async
- react
- 인천 구월동 맛집
- javascript
- AsyncStorage
- 맛집
- Total
- Today
- Yesterday